본문 바로가기

한국 고미술/고미술 고가구 이야기

한국을 대표하는 골동품 고가구 반닫이 - 그 외 지역의 반닫이들

728x90

충청도 반닫이,  19세기

충청도 - 충청도 반닫이는 다 짬뽕됬다고 보면 쉽다. 충청도 반닫이는 다른 지역에 비해 장석이 차지하는 비율이 크며 그만큼 경첩또한 큼직 큼직하다. 주로 3경첩으로 구성되어 있는게 특징 (오른쪽 충청도 반닫이를 보면 중앙 경첩이 크다 못해 앞바탕을 덮고 있다) 충청도는 평발 구성을 주로 취하고 있다. 

강원도 반닫이, 19세기

강원도 - 강원도는 상하결속으로 되어 높이가 높은 편이고, 가장 큰 특징으로는 액자형 구성을 꼽을 수 있다. 면판재가 전면에 노출되어 마치 액자안에 반닫이가 있는 듯한 느낌을 준다. 강원도도 짬뽕 스타일이라 장석은 참... 못났다...

 

평안도 반닫이, 19세기

북한 - 북한 지역의 반닫이는 장석의 디자인에 치중한 스타일이 대부분이다. 이유는 북한 지역에는 피나무가 주로 자랐는데 피나무 자체가 목리로는 미적인 아름다움을 주기 어렵기에 피나무가 주는 궤이 아름다움 대신 화려한 장석 (투각기법)을 통하여 장석이 다 크고 화려하고 기하학적인 형태를 취하고 있다. 둥글거나 네모난 앞바탕에 길고 큰 경첩들 이 때문에 나무가 수축되는 힘에 의해 넓고 긴 경첩들이 들뜨기도 한다. 답십리 가면 제일 흔한게 북한 반닫이이다. 

 

제주도 반닫이, 19세기

제주도 - 궤가 작은 편에 속하며... 음... 못생겼다... 버선코 경첩이 주를 이룬다. 

 

개성 앞닫이 궤

개성 앞닫이 궤 - 전면에 통 널판을 사용하지 않고 동자(골주)와 알판으로만 구성되어 있으며 개구부 (문여는 판)이 좁다. 좌우로 막힌 상단에 빼닫이 구성을 하고 있다. 실용성과 치장성을 동시에 갖춘 형태이다. 주로 백동 장석을 사용한다.

 

해주 궤

해주 - 표출도안이 굵은 선 같이 보이며 해주소반과 비슷한 투각 도안을 주로 이룬다. 굉장히 장식성이 강한 장석 디자인. 

 

 

 

이 정도로 반닫이에 대한 소개?글들은 끝난 것 같다.

반닫이가 가장 대중적인 목가구로 표현될 수 있지만 앞으로 다룰 많은 목가구들이 존재하기에 목가구 관련 글들은 작성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