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닫이

한국 골동품 집합소 안녕하세요 긴나라입니다. 앞으로는 티스토리 블로그를 운영하지 않을 계획입니다. 기존에 작성한 글들은 그대로 두려고 합니다만, 한국 골동품 관련하여 카페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한국 골동품, 고미술품에 대하여 관심 있는 분들께서는 카페 방문하시어 좋은 정보 공유하여 주시면 감사드리겠습니다. 항상 감사합니다. https://cafe.naver.com/kantique 더보기
한국을 대표하는 골동품 고가구 반닫이 - 경상도 반닫이 경상도 지방의 반닫이는 전라도 반닫이와 함께 가장 많은 사랑을 받는 반닫이의 형태라고 할 수 있다. 개인적으로는 전라도 반닫이와 경상도반닫이가 다른 지방의 반닫이들에 비하여 특히나 공간감을 가장 잘 살리고 비례미가 뛰어난 반닫이라 인기가 많은 것으로 생각된다. 예부터 경상도 지역에는 사대부, 부자들이 많이 산다고 하여 두꺼운 쇠 장석들이 많이 쓰였으며 문양 또한 화려하고 다양하며 궤의 균형 자체가 낮고 긴 (돈궤) 같은 형식을 띄고 있으며, 높이가 낮고 폭이 넓은 것이 가장 큰 특징이다. 모든 경상도반닫이들의 형태가 그러한 것은 아니지만, 구조적인 특징으로 앞서 말한 것과 같이 표현할 수 있다. 하지만 북부지역과 남부지역에 따라 조금 차이를 보이는 경향이 있다. 북부지역 (상주, 예천, 안동, 경주 등).. 더보기
한국을 대표하는 골동품 고가구 반닫이 - 경기도 반닫이 경기도 반닫이에는 강화반닫이, 제비추리 강화반닫이, 남한산성 반닫이, 개성 반닫이, 경기 제비추리 반닫이 등 다양한 종류들의 반닫이를 뜻하는 명칭이다. 이러한 다양한 종류들 때문에, 하나의 특징만을 갖고 경기도 반닫이라고 하기에는 어려움 있다. 일반적인 특징으로는 경기도 반닫이는 다른 지역의 반닫이에 비하여, 높이가 높고 장석이 크며, 호리병 모양의 황동 경첩을 주 재료로서 사용하였으며, 동식물 문양을 표현한 배꼽 장석 등이 큰 특징으로 볼 수 있다. 조선시대 왕실과 궁궐이 경기지역에 대부분 경기지역에 위치하였기에, 경기지역에서 사용한 반닫이는 대부분 사대부들 또는 부유한 집안에서 쓰던 목가구로 여겨진다. 강화반닫이는 반닫이의 종류 중에서 가장 으뜸으로 치는 종류 중 하나이며 몇 가지 큰 특징이 있다. .. 더보기
한국을 대표하는 골동품 고가구 반닫이 - 그 외 지역의 반닫이들 충청도 - 충청도 반닫이는 다 짬뽕됬다고 보면 쉽다. 충청도 반닫이는 다른 지역에 비해 장석이 차지하는 비율이 크며 그만큼 경첩또한 큼직 큼직하다. 주로 3경첩으로 구성되어 있는게 특징 (오른쪽 충청도 반닫이를 보면 중앙 경첩이 크다 못해 앞바탕을 덮고 있다) 충청도는 평발 구성을 주로 취하고 있다. 강원도 - 강원도는 상하결속으로 되어 높이가 높은 편이고, 가장 큰 특징으로는 액자형 구성을 꼽을 수 있다. 면판재가 전면에 노출되어 마치 액자안에 반닫이가 있는 듯한 느낌을 준다. 강원도도 짬뽕 스타일이라 장석은 참... 못났다... 북한 - 북한 지역의 반닫이는 장석의 디자인에 치중한 스타일이 대부분이다. 이유는 북한 지역에는 피나무가 주로 자랐는데 피나무 자체가 목리로는 미적인 아름다움을 주기 어렵기에.. 더보기
한국을 대표하는 골동품 고가구 반닫이 - 전라도 반닫이 경상도 반닫이와 함께 받닫이 콜렉터들에게 인기가 많은 반닫이로는 전라도 반닫이가 있다. 경상도 반닫이가 화려함으로 치장된 것이 특징이라 한다면 전라도 반닫이는 흔히 말하는 '여백의 미'가 느껴지는 간결하고 여유로운 공간감 그리고 최대한 멋을 자제하고 수려한 디자인을 갖고 있는게 특징이라 생각한다. 금산 - 단순한 앞바탕, 투각 도안 따위는 없다! 장석의 크기가 크며 길목과 꺽쇠 (거멀못)이 특징. 감잡이 대신에 거멀이를 쓴다. 옛날에는 금산지역이 전라도였지만 지금은 충청으로 분류된다. 익산 - 보편적으로 크기가 크며, 장석의 앞바탕은 사각 혹은 투각문양이며 경첩은 호리병. 호리병에 문양들이 투각된 약간 가분수형 형태이며 2첩 스타일이다. 길목 역시 호리병처럼 울룩불룩한게 특징이다. 전주 - 전주는 사실 .. 더보기
한국을 대표하는 골동품 - 조선 고가구의 종류 가구라고 하는 것은 우리가 살아감에 있어서, 필요한 생활도구 혹은 의식주와 연관되어 있는 행동 및 생활에 필요한 기물로서 표현된다. 현대에 이르러서는 서양식 문화인 입식 생활양식을 따르고 장식적인 목적을 띄고 있는 서양식 가구를 통한 인테리어가 주를 이루고 있지만, 전통적인 한국 문화는 앉아서 생활하는 좌식생활양식과 장식성보다는 실용성을 염두에 둔 한국식 목가구를 이용한 공간감을 강조하였다. 서양의 고가구들이 높이가 높고 세로 형태를 고수하고 있다면, 조선시대 고가구들은 좌식생활에 최적화하여 높이가 낮고 가로 형태의 가구들이 대부분이다. 조선시대에 일상용 목가구를 모두 갖추는 데에는 많은 비용이 들었다고 한다. 일반 서민들은 반닫이와 장, 농까지 갖추고 산다는 것은 거의 불가능했으며, 대부분의 잘 짜인 .. 더보기
한국의 고가구 '반닫이'를 보는 법 이 글은 반닫이의 구조 혹은 명칭과 같은 누구나 다 알 수 있을만한 정보에 대한 글이 아닌, 반닫이 혹은 다른 고가구 작품들을 볼 때의 중요한 몇 가지 포인트를 알려주고자 작성한다. 물론 필자 또한 아직 한참 배우는 학생이고, 실제 일하면서 배웠던 지식들을 조금이나마 나누어주고자 이 글을 작성한다. 반닫이라는 목가구는 우리 한국의 전통 가옥의 특성인 '좌식 생활'을 단적으로 보여주는 예라고 생각한다. 앉아서 생활을 주로 하기에, 반닫이는 이러한 생활 방식에 최적화된 수납공간으로써 안이 깊고 넓은 것이 특징이다. 지역별로 크기나 장석의 디자인이 다르며 구조 또한 다르게 제작되었다. 이러한 지역별 특징은 추후 다른 글로 다루어볼 예정이다. 아래 기입하는 내용들은 순전히 초보 콜렉터로써 알려주는 내용이니, 절.. 더보기
고미술 고가구 책 리뷰 '우리것 우리 가구 조선의 궤 - 정대영' 책 소개를 하기전에, 현재 한국 고미술 시장에 대한 기본적인 배경 지식을 조금 소개하려 한다. 현재 한국 고미술 시장은 크게 북촌 지역과 인사동에서 장사하는 상인들, 답십리 고미술 상가 내 상인들, 대구와 같은 지방에서 활동하는 고미술 상인들과 경매장들, 그리고 마지막으로 수집가이며 판매을 겸하고 있는 분들로 나뉠 수 있다. [소읍기행]도심 속 살아있는 박물관, 답십리 고미술상가거리잡동사니 ‘골동품’이 고고학적 가치를 지닌 ‘고미술’로 탄생하는 곳. 손때 묻은 선조의 이야기를 간직한 답십리 고미술상가거리로 마실을 나가본다. 서울도시철도 5호선 답십리역 1,2번 출구. 큰길에서 안쪽으로 몇 걸음만 옮기면 한눈에 봐도 오래된 표지판이 눈에 들어온다. ‘답십리 고미술상가’. 주상복합건물인 삼희아파트 앞으로 박..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