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고미술품 감정

한국을 대표하는 골동품 고가구 반닫이 - 경상도 반닫이 경상도 지방의 반닫이는 전라도 반닫이와 함께 가장 많은 사랑을 받는 반닫이의 형태라고 할 수 있다. 개인적으로는 전라도 반닫이와 경상도반닫이가 다른 지방의 반닫이들에 비하여 특히나 공간감을 가장 잘 살리고 비례미가 뛰어난 반닫이라 인기가 많은 것으로 생각된다. 예부터 경상도 지역에는 사대부, 부자들이 많이 산다고 하여 두꺼운 쇠 장석들이 많이 쓰였으며 문양 또한 화려하고 다양하며 궤의 균형 자체가 낮고 긴 (돈궤) 같은 형식을 띄고 있으며, 높이가 낮고 폭이 넓은 것이 가장 큰 특징이다. 모든 경상도반닫이들의 형태가 그러한 것은 아니지만, 구조적인 특징으로 앞서 말한 것과 같이 표현할 수 있다. 하지만 북부지역과 남부지역에 따라 조금 차이를 보이는 경향이 있다. 북부지역 (상주, 예천, 안동, 경주 등).. 더보기
한국을 대표하는 골동품 고가구 반닫이 - 경기도 반닫이 경기도 반닫이에는 강화반닫이, 제비추리 강화반닫이, 남한산성 반닫이, 개성 반닫이, 경기 제비추리 반닫이 등 다양한 종류들의 반닫이를 뜻하는 명칭이다. 이러한 다양한 종류들 때문에, 하나의 특징만을 갖고 경기도 반닫이라고 하기에는 어려움 있다. 일반적인 특징으로는 경기도 반닫이는 다른 지역의 반닫이에 비하여, 높이가 높고 장석이 크며, 호리병 모양의 황동 경첩을 주 재료로서 사용하였으며, 동식물 문양을 표현한 배꼽 장석 등이 큰 특징으로 볼 수 있다. 조선시대 왕실과 궁궐이 경기지역에 대부분 경기지역에 위치하였기에, 경기지역에서 사용한 반닫이는 대부분 사대부들 또는 부유한 집안에서 쓰던 목가구로 여겨진다. 강화반닫이는 반닫이의 종류 중에서 가장 으뜸으로 치는 종류 중 하나이며 몇 가지 큰 특징이 있다. .. 더보기
한국을 대표하는 골동품 고가구 반닫이 - 그 외 지역의 반닫이들 충청도 - 충청도 반닫이는 다 짬뽕됬다고 보면 쉽다. 충청도 반닫이는 다른 지역에 비해 장석이 차지하는 비율이 크며 그만큼 경첩또한 큼직 큼직하다. 주로 3경첩으로 구성되어 있는게 특징 (오른쪽 충청도 반닫이를 보면 중앙 경첩이 크다 못해 앞바탕을 덮고 있다) 충청도는 평발 구성을 주로 취하고 있다. 강원도 - 강원도는 상하결속으로 되어 높이가 높은 편이고, 가장 큰 특징으로는 액자형 구성을 꼽을 수 있다. 면판재가 전면에 노출되어 마치 액자안에 반닫이가 있는 듯한 느낌을 준다. 강원도도 짬뽕 스타일이라 장석은 참... 못났다... 북한 - 북한 지역의 반닫이는 장석의 디자인에 치중한 스타일이 대부분이다. 이유는 북한 지역에는 피나무가 주로 자랐는데 피나무 자체가 목리로는 미적인 아름다움을 주기 어렵기에.. 더보기
한국을 대표하는 골동품 고가구 반닫이 - 전라도 반닫이 경상도 반닫이와 함께 받닫이 콜렉터들에게 인기가 많은 반닫이로는 전라도 반닫이가 있다. 경상도 반닫이가 화려함으로 치장된 것이 특징이라 한다면 전라도 반닫이는 흔히 말하는 '여백의 미'가 느껴지는 간결하고 여유로운 공간감 그리고 최대한 멋을 자제하고 수려한 디자인을 갖고 있는게 특징이라 생각한다. 금산 - 단순한 앞바탕, 투각 도안 따위는 없다! 장석의 크기가 크며 길목과 꺽쇠 (거멀못)이 특징. 감잡이 대신에 거멀이를 쓴다. 옛날에는 금산지역이 전라도였지만 지금은 충청으로 분류된다. 익산 - 보편적으로 크기가 크며, 장석의 앞바탕은 사각 혹은 투각문양이며 경첩은 호리병. 호리병에 문양들이 투각된 약간 가분수형 형태이며 2첩 스타일이다. 길목 역시 호리병처럼 울룩불룩한게 특징이다. 전주 - 전주는 사실 .. 더보기
매혹적인 비취색을 가진 한국만의 청자 - 고려청자 이야기 해외에서 가장 잘 알려진 대한민국의 전통 도자기는 무엇이 있을까? 많은 사람들이 조선백자를 떠올릴 수도 있겠지만, 아쉽게도 대다수의 외국인들에게는 고려시대의 청자 혹은 조선시대의 분청사기가 대한민국을 대표하는 도자기로 여겨진다. 대한민국의 전통 도자기는 청자, 분청사기, 백자 크게 3가지로 분류 되며, 가장 널리 알려진 도자기 종류이다. 그 이전부터 사용되었던 토기와 청동기물에 대하여는 시장에서의 가치도 도자기에 비하여 낮으며, 사람들의 관심을 많이 받지 못하는게 현실이다. 필자 또한 배운 것이 짧아, 토기와 청동기물에 대해서는 공부를 더 많이 한 후 작성하려 한다. 고려청자는 '자기'로 분류되며, 주 재료인 돌가루가 들어간 자토 (일종의 돌가루)를 주 재료로 사용한다. 그 중에서도 고령토 (Kaolin.. 더보기
한국의 고가구 '반닫이'를 보는 법 이 글은 반닫이의 구조 혹은 명칭과 같은 누구나 다 알 수 있을만한 정보에 대한 글이 아닌, 반닫이 혹은 다른 고가구 작품들을 볼 때의 중요한 몇 가지 포인트를 알려주고자 작성한다. 물론 필자 또한 아직 한참 배우는 학생이고, 실제 일하면서 배웠던 지식들을 조금이나마 나누어주고자 이 글을 작성한다. 반닫이라는 목가구는 우리 한국의 전통 가옥의 특성인 '좌식 생활'을 단적으로 보여주는 예라고 생각한다. 앉아서 생활을 주로 하기에, 반닫이는 이러한 생활 방식에 최적화된 수납공간으로써 안이 깊고 넓은 것이 특징이다. 지역별로 크기나 장석의 디자인이 다르며 구조 또한 다르게 제작되었다. 이러한 지역별 특징은 추후 다른 글로 다루어볼 예정이다. 아래 기입하는 내용들은 순전히 초보 콜렉터로써 알려주는 내용이니, 절.. 더보기